인격장애 인격장애 - 소소한 파파의 생활정보와 리뷰

인격장애

머리-여러가지인격-나는누구인가?
인격장애

1. 인격장애란?

인격장애란 한 개인이 지닌 삽화적이 아닌 지속적인 일정한 행동 양상 때문에 현실에 적응하는 데 있어서 자신에게나 사회적으로 주요한 기능장애를 초래하게 되는 이상 성격의 양상으로 볼 수 있다. 만성적이고 만연된 융통성 없는 행동 패턴, 기능의 손상과 주관적인 고통을 야기시킬 만큼 부적응적인 환경 지각 및 반응 패턴, 이는 아동기 , 청소년기에 형성되어 일생동안 지속되는 행동 패턴으로서 이 시기 부모나 중요 타인의 모델링  또는 상호작용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 내적 경험과 행도으이 지속적인 형태가 개인이 속한 문화에서 기대되는 바로부터 현저하게 편향되어 있다. 이러한 형태는 다음의 사항 중 (또는 그 이상)의 분야에서 나타난다. 첫째 인지(자딘과 다른 사람 및 사건을 지각하는 방법) , 둘째 정동의 정도( 감정 반응의 범위, 불안전성, 적절성) 셋째 대인관계상 기능 넷째, 충동의 조절 지속적인 형태가 개인의 사회 상황의 전 범위에서 경직되어 있고 전반적으로 나타난다. 지속적인 형태가 심각한 곤란과 사회, 일 및 기타 중요한 기능분야에서의 장애를 유발한다. 형태는 안정적이고 오랜 시간 동안 있어 왔으며 그 시작은 최소한 청년기 혹은 초기 성인기부터 시작되었다. 지속적인 형태는 기타의 정신질환의 현상이거나 결과로써 더 잘 설명되어서는 안 된다. 지속적인 형태는 물질 (약물남용, 투약)의 직접적이고 생리적인 효과나 일반적 의학적 상태 (두부손상)에 의하지 않는다.

2. 인격장애의 감별

인격 장애는 자신의 증상이 사회에 미치는 영향을 인식하지 못할 뿐 아니라 자신의 마 추워 환경을 바꾸고자 하는 환경 수직적 특성을 가지며 증상을 자신이 용납하는 자 동조 적인 특징이 있어 스스로 정신과적 치료를 받으려 하지 않는다 인격 장애에서는 신경증적인 다양한 증상이 전면에 나타날 수도 있다 그러나 주관적인 호소는 구체적인 사건과 상황에 결과로 나타나는 비교적 일시적이고 상황적인 것으로 볼 수 있다 또한 정신 장애 증상이 전면에 나타날 수도 있는데 이는 비교적 일시적이고 영역이 국한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며 이 또한 부적응의 결과로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 인격 장애가 신경증이나 정신 장에 증상과 공존하는 경우도 흔히 있으므로 이 둘을 구분하여 이해 , 평가하는 것이 중요하다. 잠정적으로 인격 장애가 축 1 장애의 원인이 되는 경우가 흔히 있지만 이 둘의 공존의 역학과 본질에 대해서는 아직 충분이 연구되지 않은 상태이다 개인 개념적인 수준에서 축 1 장애와 인격 장에는 구분되지만 실제 임상 장면에서 둘 의 구분은 쉽지 않으며 이런 쪽으로도 아직 정리가 안 된 상태이다.

3. 인격장애의 구분 

인격 장애는 세계의 군집으로 구분할 수 있다 기하고 괴팍한 특성에 군집 A에는 정신 분열 성, 정신 분열형, 편집성 인격 장애가 속하고 충동적이고 감정 조절을 하지 못 하는 특성의 군집 B에는 반사회적 경계선 적,  히스테리성, 자기애성 인격장애가 속 하며 불안과 우울 등에 특성을 주로 하는 군집 C에는 회피성, 의존성 , 강박성 인격 장애가 해당된다.

4. 인격장애의 원인

인격 장애의 원인은 생물학적 요인들과 심리적 요인과 사회 문화적 요인으로 나눌 수 있다. 첫 번째 생물학적 요인들로 많이 연구되고 있으며 특히 쌍둥이 연구가 주목된다 군집 A(정신분열성 , 정신 분열형, 편집성 인격장애) 중 듣기 분열형 인격 장애 환자의 가족에 정신분열증의 많다. 군집 B(히스테리성 , 자기애적, 반사회적, 경계형)의 가족 중에는 반사회적 인격 장애와 알코올리즘이 많고 특히 경계형 인격 장애 가족에 기분 장애가 많다. 그만 히스테리성 인격 장애는 신체화 장애와 관련이 높다. 군집 C(강박성 , 의존성 , 회피성 인격장애) 인격 장애 중 강박 성향은 일란성쌍둥이 간에 일치 유리 이란성 때 보다 높고 더 우울과 관련이 있다. 회피성 인격 장애는 불안 성향이 높다. 어릴 때부터 의 일도 성인의 인격 장애와 관련이 있는데 예를 들어 어려서 공포심이 많았던 사람은 회피성 인격을 가질 수 있고 어려서 정한 신경학적 증후가 있던 사람은 나중에 반사회적 및 경계성 인격 장애가 되기 쉽다. 충동 성향은 테스토스테론의 증가와 관계있다.. 분열형 인격 장애 때 혈소판 M A O 기능이 낮으며 엔도르핀 증가는 냉담한 수동적 성격과 관련이 있다고 한다. 경계형 인격장애에서 세로토닌 대사의 저하는 자살 공격성과 관련된다고 한다. 반사회적 및 경계성 인격 장애에서 네파 상 이상 소견이 흔히 발견된다고 한다. 심리적 요인으로는 프로이트는 인격 성향을 충동과 환경 사이의 상호 작용의 결과로 그리고 정신 사회적 발달 단계 중 어느 한 단계에 고착된 결과로 보았다 따라서 그는 구강적 성격 (수동적 의존적 과도히 먹는 형 물질 남용 성향). 항문적 성격(세심. 인색, 정화성, 완고성) 강박성 성격 (완고 , 강한 초자아) , 자기애적 성격(공격적 , 자기 위주)을 구분하여 기술하였다. 따라서 인격 장애 환자들을 돕기 위해서는 장어 기재에 대한 지식이 필요하다 겉으로 드러난 인격 양상의 배우에 있는 진실한 성향과 그것을 방어하고 있는 기제를 분석할 수 있어야 한다 예컨대 편집성 인격 장애 환자가 독립성을 우기고 있으나 환자의 내쪽 진실한 모습은 의존성이며 투사라는 방어기제로써 일을 감추고 있는 것이다 분열성 인격 장애에서는 공상이 주로 사용되고 히스테리성 인격 장애에서는 혜리의 부정이 주로 사용되며 강박성 인격 장애는 고립이 주로 사용된다 투사 건강 염려 불리 행동 화 등도 흔히 사용되는 방어기제 들이다. 세 번째 사회 문화적 요인으로 인격 장에는 불우한 가족 관계에서 많이 나타나는 경향이 있다 어린이의 기질과 부모의 육아 방식이 좋아 되지 않으면 문제가 생기기 쉽다 예컨대 불안정한 아이를 불안정한 엄마가 키우면 안정한 엄마가 키울 때 비해 더 많은 인격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이다.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